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점근론 I - Asymptotics I 점근론을 사용해 코드 성능을 표현해 봅시다. 감으로 때려 맞추는게 아닌, 수학적이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분석하자. 포스트 목표 코드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 시간 측정과 모델링 점근적 행동이 무엇인가: 포물선 vs 직선 코드 효율성 표기 방법: Cost Model vs Big Theta 코드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 개발자라면 작성한 코드가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고민해야 한다. 코드가 효율적이기 위해선 두가지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는 프로그래밍 비용이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그리고 작성된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유지보수 하는데 드는 비용도 포함된다. 두번째는 실행비용이다. 코드가 실행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그리고 코드가 필요로 하는 메모리의 양이다... 더보기 리액트 포탈을 활용해 모달 만들기 (Implement modal component using React Portals) 개요 널널팀에서 뭐라고 보내지 앱 개발을 시작했다. 모바일 웹 개발이 필요해 리액트로 구현하기로 결정했다. 가장 먼저 보이는 디자인 요구사항이 모달이여서 모달을 먼저 구현했다. 디자인 분석 우선 구조를 살펴보면 전체를 어둡게 덮고있는 모달 백그라운드와, 모달 내용을 담고있는 컨테이너로 나뉘고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내부는 제목, 디테일 내용, 버튼 등 들어가는 요소에 따라 모양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조를 나눠보았다 Overlay: 어두운 뒷 배경 Container: 모달 컨텐츠를 담을 박스 기능 기능적으로 보면, 흔히 보든 모달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고자 했다. 모달의 상태에 따라 바뀌어야 하는 기능을 적어보았다. 다만, 다른 모달과는 조금 다르게 최초 랜딩 시 웹에서 보기 버튼을 눌러야만.. 더보기 이전 1 다음